앵남리 유래
앵무동마을
♠지명유래
앵남리(鸚南里)의 지명은 앵무촌(鸚鵡忖) 마을의앵(鸚)자와
화남리(花南里)의 남(南)자를 각각 취하여 앵남리라 하였다.
앵남리는 앵무동마을(1리), 화남마을, 신기촌마을(2리),
쌍계동(대흥사골)마을(3리), 등 4개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앵무마을은 앵무봉충의 명당이 있는 앵무산 아래에 있어 앵무촌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마을을 세분하면 우데비(웃춤), 아래데미(아랫춤), 새터로 구분된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화순현(和順縣) 서면(西面) 오룡동리(五龍洞里),
대야곡리(大也谷里)로 기록되어 있으며 1867년 대동지지에는 화순현 서면,
1895년에는 나주부(羅州府) 화순군(和順郡) 서면(西面),
1896년에는 전라남도(全羅南道) 화순군 서면,
1908년에는 능주군(綾州郡) 원화순방 서면,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능주군 서면 앵무촌(鸚鵡村), 서동(書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시 화순군(和順郡) 서면 앵남리(鸚南里)(쌍계동, 앵무동, 서동, 화남리 일부)로 편입되었다.
1932년 11월 1일 서면이 화순면으로 편입되어 화순면 앵남리가 되었고
1963년 1월 1일 화순읍 승격으로 화순읍 앵남리가 되었다.
현재는 앵남1리이며 1개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산물(쌀, 보리), 특산물(복숭아), 주소득원(쌀, 보리)
♠성씨 : 전주李(32), 광산李(2), 진주姜(2), 밀양朴(1), 풍천盧(1), 달성裵(1), 광산卓(1), 함양朴(1).
♠마을형성
앵무촌마을은 동쪽으로는 땀재, 밀암굴, 서쪽으로는 앵무산, 모수굴,
남쪽으로는 앵남분교, 산서굴등, 유가등, 북쪽으로는 세량리골착이 있다.
마을의 방향은 동남쪽을 향하고 있다.
이전에 광산김씨가 담양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는데 후손이 모두 이거하였다.
1785년경 전주이씨 李貞喆(1760∼1798)이 세량동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797년경 광산탁씨 卓善珉( ? ∼ ? )이 전북 익산에서 광주를 거쳐 입향하였다.
1815년경 풍천노씨 盧光福( ? ∼ ? )이 남원 주천면 내촌리에서 입향하였다.
1840년경 진주강씨 姜秉會(1822∼1887)가 남평현 저포면(현 나주 남평 오계리)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855년경 전주이씨 李昌模(1833∼1877)가 세량동에서 거주하다가 입향하였다.
1902년경 달성배씨 裵奉春(1892∼1952)이 광산 동강 황룡에서 거주하다가 모친 전주이씨 ( ? ∼ ? )와 함께 입향하였다.
1912년경 광산이씨 李淳浩(1906∼1987)가 현 도곡 죽청리에서 거주하다가 모친 창녕조씨( ? ∼ ? )이 함께 입향하였다.
1974년경 함양박씨 朴泰煥(1937∼ )이 남면 복교리 독다리에서 입향하였다.
동쪽으로는 도웅리, 서쪽으로는 나주시, 쌍계동마을, 남쪽으로는 신기촌마을, 북쪽으로는 세량리 세양동마을이 있다.
♠유물 ·유적 ·고문서
지석묘(밀암동 양이재 옆, 3기), 선돌(1기 마을입구), 지강 양한묵선생묘소,
앵남국민학교(305번지, 1960앵남분교 개교, 1963 화순서국민학교 승격, 1989년 앵남분교, 1993. 2 폐교),
이진백소장 고문서(고서다수), 세덕사(世德祠, 전주이씨 사당, 李子興 李天柱 李蘭 李思哲 李明仁 향사),
무산정사(武山精舍, 李鎭白의 강학소).
♠민속놀이 ·전설 ·민담
▷ 농악 : 정월 대보름이면 시암굿, 마당볼비를 하였다. 상쇠로는 이봉화가 잘 하였다.
▷ 당산제 : 이전부터 지내지 않았다.
▷ 디딜방아 액막이 : 마을에 전염병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기 위하여 대촌면에 가서 몰래 디딜방아를 가져다가 마을입구에 거꾸로 세워놓고 고쟁이를 씌워 액막이를 하였다.
▷ 불싸움 : 정월 대보름이면 화남마을과 횃불싸움, 독싸움을 하였다.
▷ 기우제 : 종괘산, 무제등에서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냈다.
▷ 줄다리기 : 정월 대보름이면 남여로 나누어 줄다리기를 하였는데 여자편이 이겼다.
▷ 당산점 : 마을에 있는 당산나무를 보고 봄에 한물에 잎이 나면 풍년이 들고 나뉘어 피면 가뭄이 든다고 하였다.
▷ 달집태우기 : 정월 대보름이면 나뭇단을 높이 쌓아 올린후 보름달이 뜰 무렵 불을 지펴 달집을 태웠는데 달집이 넘어가는 쪽이 풍년이 든다고 하였다.
♠풍수지리 및 주요지명
▷ 앵무봉충(鸚鵡逢蟲) 형국 : 앵무새가 벌레를 만난다는 형국이다.
▷ 대실골: 1789년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는 대야곡리(大也谷里)가 있던 곳으로 현재 석산을 개발하고 있는 큰 골짜기를 말한다.
▷ 산, 등 : 종가산, 앵무봉, 도덕산, 도류봉, 종산, 안산, 쌍교산, 인장산, 유가 등.
▷ 들 : 마을앞들, 장구배미, 애배미, 도내기들, 독배기들.
▷ 고개 : 땀재(∼도산촌), 염재(∼남평), 밀암재(∼서태리 태곡), 큰재, 작은재(∼쌍계동).
▷ 골짝 : 비덕굴, 이생굴, 대실골, 밀암굴, 백정굴, 모서굴(모수굴), 원수굴, 산서골, 숯골.
▷ 바위 : 인궤바위(인끈바위), 쌍교바위(생계바위), 주전자바위, 목전바위, 앵무바위, 물통바위, 종괘바위, 미영씨바위.
▷ 쏘, 내 : 큰내걸.
▷ 샘 : 종가산 용샘, 도내기시암, 큰시암.
▷ 터 : 기우단터, 죽곡사터, 연자방아터, 절터, 기와점터, 사당터, 서당터, 주막터.
▷ 묘 : 芝江梁漢默先生墓.
▷ 보 : 도내기보, 새보, 지하보, 큰보.
▷ 길 : 선둑거리, 우춤고삿, 아랫춤고삿, 도천모탱이, 주막모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