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歌客(가객)이자 <海東歌謠(해동가요)>의 편찬자인 金壽長(김수장·1690~?)은
우리 꽃들이 지닌 전래의 속성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동양에서 전승되어 온 각종 꽃에 대한 固定觀念(고정관념)을 알 수 있다.
.
.
.
모란(목단牧丹)은 花中之王(화중지왕)이요
向日花(향일화 :해바라기)는 忠臣이로다
蓮花(연화 : 연꽃)는 君子요
杏花(행화 :살구꽃)는 小人이라
菊花(국화)는 隱逸士(은일사)요
梅花(매화)는 寒士(한사)로다
박꽃은 老人이요
石竹花(석죽화 : 패랭이꽃)는 少年이라
葵花(계화)는 巫堂(무당)이요
海棠花(해당화)는 娼女(창녀)로다
이 중에 李花(이화 :배꽃)는 詩客(시객)이요
紅桃(홍도 : 복사꽃) 碧桃(벽도) 三色桃(삼색도)는 風流郞(풍류랑)인가 하노라
산속에서 만난 친구들 (0) | 2013.09.21 |
---|---|
재미있는 인형 퍼포먼스 (0) | 2013.09.03 |
수박 맛있게 먹기....(퍼온글) (0) | 2013.08.09 |
영어 이름 의미 알아보기 (0) | 2013.03.22 |
차량 족보 알아보기 (0) | 201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