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이 몇 가지요 청주와 탁주로다
다 먹고 취할선정 청탁이 관계하랴
달 밝고 풍청한 밤이어니 아니 깬들 어떠리
< 신 흠 >
자네 집에 술 익거든 부디 날 부르시소
내 집에 꽃 피거든 나도 자네 청하옴세
백년 덧시름 잊을일 의논코자 하노라
< 김 육 >
한잔 먹세그려 또 한잔 먹세그려
꽃 꺾어 산 놓고 무진무진 먹세그려
< 정 철 >
꽃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밝으면 술 생각하고
꽃피자 달 밝자 술 얻으면 벗 생각하네
언제면 꽃 아래 벗 데리고 완월장취 하려뇨
< 이정보 >
재너머 성권농 집에 술 익단 말 어제 듣고
누운 소 발로 박차 언치 놓아 지즐 타고
아해야 네 권농 계시냐 정좌수 왔다 하여라
< 정 철>
벼슬을 저마다 하면 농부할 이 뉘 있으며
의원이 병 고치면 북망산이 저러 하랴
아해야 잔 가득 부어라 내 뜻대로 하리라
< 김창업 >
주인이 술 부으니 객을랑 노래하소
한잔 술 한 곡조씩 새도록 즐기다가
새거든 새 술 새 노래를 이어 놀려 하노라
< 이상우 >
오늘이 무슨 날이 노부의 현고신이로다
술 빚고 벗 있는데 달이 더욱 아름다워
아희야 거문고 청쳐라 취코 놀려 하노라
< 정내교 >
청류벽에 배를 매고 백은탄에 그물 걸어
자님은 고기를 눈살 같이 회쳐 놓고
아희야 잔 자로 부어라 무진토록 먹으리라
< 윤 유 >
공명이 그 무엇인가 욕된일 많으니라
三盃酒(삼배주)一曲琴(일곡금)으로 사업을 삼아두고
이 좋은 태평연월에 이리저리 늙어리라
< 김천택 >
고죽 최경창 시모음 (0) | 2021.10.26 |
---|---|
두보시 모음 (0) | 2021.08.30 |
조선시대의 대표적 기생 황진이와 이매창 (0) | 2017.10.01 |
매화시 (0) | 2014.02.14 |
白樂天(白居易)詩 38首 모음 (0) | 2014.02.11 |